청년문화예술패스 최대 15만원 챙기세요 사용처
올해 19세가 되는 2006년생 청년이라면, 문화예술 관람에 쓸 수 있는 15만 원 상당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문화체육관광부가 2025년 4월 6일부터 청년 문화예술패스를 통해 공연·전시 등을 즐길 수 있는 이용권을 신청받기 시작했습니다.
이 글에서는 청년 문화예술패스의 신청 방법, 대상 조건, 사용처, 주의사항, 할인 공연 정보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.
청년 문화예술패스란?
청년 문화예술패스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함께 추진하는 정책으로,
2006년생 청년(만 19세)에게 최대 15만 원 상당의 문화예술 이용권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.
예매 플랫폼인 인터파크와 예스24에서 바로 사용 가능한 형태로 지급됩니다.
신청 대상은 누구?
- 연령 조건: 2025년 기준, 2006년생 (만 19세)
- 거주 조건: 대한민국 내 거주자
- 소득 조건: ❌ 소득 제한 없음! 누구나 신청 가능
- 신청 수량: 지역별 예산 범위 내에서 선착순 발급
※ 17개 시도별로 지원 인원이 다르기 때문에 조기 마감 가능성도 있어요.
소득 조건이 없는 정책으로 2006년생 대한민국 내 거주자는 모두 신청 할 수 있습니다. 소득 제한이 없고 누구나 신청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르게 신청 하시는걸 추천 합니다.
청년 문화예술패스 신청 방법은?
- 신청 기간: 2025년 4월 6일(토) 오전 10시 ~ 5월 31일(토)까지
- 신청 홈페이지: 공식 누리집
- 사용처 플랫폼: 인터파크, 예스24
신청만 하면 즉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가 지급되며, 예매 시 할인 또는 무료 티켓으로 활용할 수 있어요.
포인트 사용처는 어디?
발급받은 포인트는 아래와 같은 공연 및 전시 예매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:
🔹 국립 예술단체 공연
- 국립극단: 만선, 그의 어머니
-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: 베르디 레퀴엠, 프로코피예프 교향곡 5번
- 국립중앙극장: 보허자, 정오의 음악회
- 국립현대무용단: 인잇: 보이지 않는 것
🔹 지역 공연시설 혜택
- 대전예술의전당: 아침을 여는 클래식
- 경기아트센터: 데미안 콘서트, 마스터즈 시리즈 II
- 강원문화재단: 강원의 사계 – 봄
- 대구문화예술진흥원: 콘서트오페라 아모오페라
- 하남문화재단, 경기 광주시문화재단 등 다수
사용 기한과 유의사항
- 사용 기한: 발급일로부터 2025년 12월 31일까지
- 주의 사항:
- 6월 말까지 단 한 번도 사용하지 않으면 환수 처리
- 미사용 포인트는 다른 청년에게 재배정될 수 있음
즉, 꼭 신청만 하고 안 쓰는 일은 없도록! 공연 한 편이라도 꼭 예매해보세요 :)
자주 묻는 질문 (FAQ)
Q. 내가 2006년생인데, 고등학생이에요. 신청 가능할까요?
A. 국내 거주 중인 2006년생이면 누구나 가능합니다. 재학 여부는 무관해요.
Q. 어디서 확인하고 신청하죠?
A. 청년문화예술패스 공식 사이트에서 신청 가능하며, 예매는 인터파크/예스24에서!
Q. 중복 혜택 가능한가요?
A. 문화누리카드 등 타 문화지원 사업과 동시 사용은 어렵지만, 사용처가 다르면 병행은 가능할 수도 있어요. 자세한 건 예매 시 확인하세요.
마무리: 문화생활, 이제 부담 없이 즐기자!
공연 한번 보려고 해도 부담되던 시기, 청년 문화예술패스는 2006년생에게만 주어지는 특별한 혜택이에요.
공연, 콘서트, 전시회를 저렴하게 혹은 무료로 즐길 수 있는 찬스!
지금 바로 신청하고, 나만의 문화생활을 시작해보세요.
👉 신청하러 가기
📱 인스타그램: @youthpass19